[IoT] 와이파이7 (Wi-Fi 7)과 IoT 에 대해 - 리무스BBS
와이파이7 (Wi-Fi 7)과 IoT 에 대해

- IEEE 802.11be 표준을 기반으로 하는 차세대 WiFi 규격
- WiFi6는 802.11ax, 5는 ac, 그 전 세대는 802.11a,b,g 로 요약이 됨.
- 지금 대부분 깔려있는 공유기는 WiFi 5 규격으로, 5GHz 혹은 기가 와이파이라고 알려져 있음
- WiFi가 지원되는 대부분의 기기 (최신 가전제품 등등)는 아직 2.4GHz 영역대의 와이파이를 지원. (802.11g)
- 최신 핸드폰의 경우 WiFi6를 지원하기 시작하는 추세임. (갤럭시 S21 Ultra 이후)
- 공유기에 ax 글자가 들어간 경우, 2.4G와 5G대역을 모두 사용하므로 공유기의 SSID가 하나로 통일됨.
- Wifi 6e 규격을 지원하는 공유기는 공유기에 ‘AXE’ 혹은 ‘6E’라는 글자가 들어감
- 6GHz 주파수대를 같이 쓰므로 타 가구와의 충돌이 훨씬 적지만… 반사나 벽 뚫는 능력이 떨어지긴 함.
- 다중 디바이스 지원이 개선되어 충돌 현상이 적고 안정적.
- WiFi 7 규격은 2025년 초에 공개 예정 (IEEE 802.11, The Working Group Setting the Standards for Wireless LANs)
IoT에서의 문제점
- 초저전력/저전력 디바이스 (배터리로 동작하는) 및 저지연 (Low Latency) 모드를 지원하기로 되어 있지만, 정작 해당 디바이스를 위한 AP가 별로 없음.
- 핸드폰 말고, 온습도계 등등의 센서 또는 스위치 네트웍은 BLE (Bluetooth Low Energy) 혹은 Zigbee를 이용하는데, 이 표준들은 2.4GHz 영역을 공유
- 충돌이 많음
- 심지어는 USB 3.0 버전의 주파수와도 혼선을 일으키는 경우가 있어서…
- EspressIf 의 저전력 WiFi ap 를 사용하면 편한데, 배터리 왕창 먹음.
- 좀 비싸도 저전력인 와이파이 칩은 아직 없어… 누가 만들어줘…
- 그래서, BLE 로 만들어서…
- 공유기에서 BLE를 같이 지원하도록 만드는 추세…
- 아니면 BLE 게이트웨이와 ZigBee Coordinator를 같이 구성하기도 함.
- 블루투스 차세대 버전 또는 와이파이 차세대 버전을 사용하면
- 늘어가는 디바이스 갯수 (몇십개는 쉽게 넘어감)가 유발하는 주파수 충돌/밴드 점령 문제가 tdma 혹은 cdma 형태로 분산이 되어 해결
- 빔포밍 기술을 활용하여 디바이스와의 방향/거리를 측정할 수 있음
- 메쉬 구성 등등이 가능
- 하지만, 정작 제조사들은 핸드폰 말고는 별 관심이 없는 것 같기도…